수유부용 이 약(펜타사)®과립94%/태블릿250mg/태블릿500mg) 투여 시 치료적 이점과 수유의 이점을 고려하여 수유를 계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고려하십시오
이 약의 활성 성분인 메살라진이 모유에 전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(외국인 데이터)1)、2)。
또한 국내 및 해외에서 유아 설사가 보고되고 있습니다
전자첨부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
|
9 특정 배경을 가진 환자에 관한 참고 사항 96 간호 여성 모유수유의 치료적 이점과 이점을 고려하여 모유수유를 계속하거나 중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사람의 모유로 전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1)、2)(외국 데이터) 또한, 일본 및 해외 모두 유아에게서 설사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|
[설명]
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는 모유수유 환자 13명에게 분만 후 2~4주에 메살라진 제제 투여※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, 3예의 모유에서는 불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나 농도가 013~053 μmol/L로 낮았습니다 또한, 이 테스트에서 검출된 아세틸 형태의 최고 농도는 731μmol/L였습니다1)、2)。
※: 펜타사정 8건, 펜타사 좌약 1건, 기타의약품 4건
표 펜타사 정제 또는 펜타사 좌약을 투여받은 환자의 아세틸 형태의 우유 평균 농도
|
사례 |
모유 샘플 수 |
복용량 및 투여량 |
아세틸 형태의 평균 우유 농도(범위) (μmol/L) |
|
|---|---|---|---|---|
|
1 |
4 |
펜타사 좌약 1g 야간투여 |
8.8 (5.2 - 12.5) |
|
|
2 |
6 |
펜타사정 500mg 아침투여 |
4.4 (2.3 - 8.1) |
|
|
3 |
1 |
펜타사정 500mg×3 |
24.1 |
|
|
4 |
7 |
펜타사정 500mg×3 |
29.4 (19.2 - 41.1) |
|
|
5 |
5 |
펜타사정 500mg×3 |
15.7 (9.6 - 23.7) |
|
|
6 |
8 |
펜타사정 500mg×3 |
12.6 (6.6 - 22.1) |
|
|
7 |
6 |
펜타사정 750mg×2 |
19.1 (4.9 - 36.3) |
|
|
8 |
8 |
펜타사정 500mg×4 |
47.5 (31.4 - 53.3) |
|
|
9 |
7 |
펜타사 정제 1g×3 |
46.3 (29.3 - 73.1) |
|
- 과립 94%; 전자 삽입물(96항) [2025년 9월 개정(6판)]
- 정제 250mg/정제 500mg; 전자 삽입물(96항) [2025년 9월 개정(6판)]
- 설명; 인터뷰 양식(VII5(3) 우유로의 전환 가능성) [2025년 9월 개정(30판)]
참고자료
- 크리스텐슨, LA 외 :액타 산부인과 Gynecol 스캔 1994 ;74 :399-402(PMID:8009971)
- Jenss, H 외 :오전 J 위장관 1990 ;85 :331(PMID:2309691)
2025/10/15